2025년 교사 성과상여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선생님들의 성과급 지급 기준, 등급별 금액, 지급일, 올해 성과급 인상과 주요 변화 등을 살펴봅니다.

2025년 교사 성과상여금, 얼마나 받나?
교사 성과상여금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2025년 기준으로 지급 기준, 금액, 지급 일정까지 정리해봤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기간제교사 성과상여금도 함께 살펴보며,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볼 텐데요. 교직에 계신 분들이라면 꼭 확인해야 할 정보이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 유용한 정보
목록 클릭 시 내용 확인 가능합니다.
‘교사 성과상여금’이란?
‘교사 성과상여금’은 한 해 동안 교사의 업무 성과를 평가하여 차등 지급되는 보너스 개념의 보상 제도입니다. 국공립학교 교사(정규직 교사, 교감, 교장 등)를 대상으로 하며,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의 지침에 따라 운영됩니다.
이 제도는 교사의 업무 성취도를 장려하고, 학교 운영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성과상여금은 매년 3월 말 지급되며, 전년도(2024년 3월 1일~2025년 2월 28일) 동안의 실적을 평가하여 결정됩니다. 그렇다면 성과상여금의 지급 기준과 금액은 어떻게 정해질까요?
2025년 교사 성과상여금 지급 기준
교사 성과상여금은 전국적으로 공통된 기준에 따라 지급되지만, 교사의 직급과 성과 등급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달라질 수 있고, 일부 요소는 교육청이나 학교별로도 다를 수 있습니다.
성과급의 차등지급률 또한 학교마다 다를 수 있고, 성과급 지급 시기도 각 교육청의 예산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올해도 경기부양책 등으로 3월 말에서 4월 초 사이에 지급될 수 있습니다.
✅ 지급 대상
- 국공립학교 교사(정규 교사, 교감, 교장 등)
- 최소 2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 지급 대상 포함 (근무기간에 따라 금액 조정)
- 평가 기간 중 중징계를 받았거나, 장기 휴직(육아휴직, 병가 등)으로 근무 실적이 부족한 경우 지급 제외
✅ 평가 기준
성과상여금은 교사의 업무 성과를 평가하여 S, A, B 3가지 등급으로 나누어 지급됩니다.
- 정량 평가: 수업 시수, 담임 여부, 행정 업무 수행 정도 등 객관적인 지표 반영
- 정성 평가: 동료 교사 및 관리자의 평가, 학생 및 학부모의 만족도, 학교 운영 기여도 등 포함
✅ 성과 등급 비율
- S(우수) 등급: 30%
- A(보통) 등급: 50%
- B(미흡) 등급: 20%
성과 등급에 따라 지급 금액이 차등적으로 결정됩니다.
2025년 교사 성과상여금 지급 금액 알아보기
📌 정규 교원 성과상여금 (차등률 50% 적용 시)
직급 | S등급 | A등급 | B등급 |
---|---|---|---|
교장 | 6,649,470원 | 5,568,260원 | 4,757,340원 |
교감 | 5,779,350원 | 4,839,620원 | 4,134,820원 |
교사 | 5,102,970원 | 4,273,220원 | 3,650,900원 |
📌 기간제 교원 성과상여금 (차등률 50% 적용 시)
직급 | S등급 | A등급 | B등급 |
기간제 교사 | 3,397,230원 | 2,844,480원 | 2,430,540원 |
이번 2025년 성과상여금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S등급이 최초로 500만 원을 돌파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물가 상승을 반영하여 작년보다 약 3% 인상된 점도 긍정적인 변화로 보입니다.
2025년 교사 성과상여금 지급 일정
성과상여금이 지급되는 시기는 교사들에게 가장 궁금한 부분 중 하나일 텐데요. 2025년의 지급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각 교육청 등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습니다.
- 3월 초: 성과급 대상자 선정 및 평가 완료
- 3월 둘째 주 이후: 성과급 등급 개별 통보
- 3월 중순: NEIS에 최종 지급액 확정 안내
- 3월 31일(월): 최종 성과상여금 지급 완료
성과상여금 지급일은 보통 3월말 4월초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교육청이 이 시기에 지급할 겁니다.
교사 성과상여금 지급 기준 논란 알아보기
교사 성과상여금 제도는 긍정적인 측면이 많지만, 일부 논란도 존재합니다.
🔹 차등 지급의 문제
교사 간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정 평가 기준이 주관적일 수 있다는 의견이 매년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평가 과정에서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습니다.
🔹 균등 지급 주장
일부 교원단체에서는 성과상여금을 균등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성과 평가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과, 협력보다는 경쟁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노력한 만큼 보상받는 것이 공정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성과에 대한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교사들이 더욱 학생 지도와 학교 운영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큽니다.
마무리하며
2025년 교사 성과상여금 제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년도에는 성과급 인상이 이루어졌네요. 지급 기준과 일정도 꼼꼼히 확인하셔서, 성과급을 받는 데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세요!
아울러, 교사라는 직업이 참 어려워지고 있고, 3D 직종이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청소년들의 가치관이 극도로 개인화되어 가거나 무한 경쟁으로 인한 이기적인 인간으로 성장하거나 성장할 수 있는 학생들을 보면서, 일반인이 감당하기 힘든 여러 상황을 버텨야 하는 교사들의 입장과,
극성스럽게 행동하거나, 교사를 애 취급하거나 장기간의 스토킹 등을 하는 학부모로 인해 잘못된 선택을 하는 선생님도 있었고,
반대로 최근에는 여러 문제가 있는 교사로 인해 초등학생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습니다.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도 자성을 해야 하고, 학부모들 또한 내 자식이 귀한 만큼 교사 또한 그 부모, 그 배우자, 그 자녀들에게 귀한 사람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조금씩 인간적으로 상호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됩니다.